고전에서 찾는 삶의 지혜와 즐거움!
고전은 마르지 않는 지혜의 샘, 스토리텔링의 보물창고.

왕소군 6

봄, 봄, 봄

며칠째 봄의 불청객 황사와 미세먼지에 관심을 빼앗기고 있지만, 매화, 산수유 같은 봄의 전령사들이 꽃망울을 터트렸다는 남녘의 화신(花信)은 이어지고 있다. 머잖아 북상하는 꽃 소식을 서울에서도 접하게 될 것 같다. 일년의 사계가 시작되는 봄은 만물이 소생하는 희망의 계절이다.겨우내 죽은 듯 활동을 멈췄던 생명들의 움직임이 분주해지기 시작했다. 봄은 음양오행에서 목(木)에 해당하며, 방위로는 동쪽이고, 시각으로는 아침, 색깔로는 푸른 색이다. 또한, 봄은 인생으로 보면 소년기이다.그래서 옛사람들은 궁궐을 배치할 때 세자의 거처를 동쪽에 두고, 동궁(東宮) 또는 춘궁(春宮)이라고 불렀다.이는 세자가 다음 왕위를 이어갈 떠오르는 태양인 점을 고려한 것이다.이에 비해 늙은 대비가 머무는 곳은 해가 지는 서쪽에 ..

클래식 단상 2025.03.13

미녀(美女)와 역사(歷史)

최근 들어서는 양성평등 추세의 확산에 따라 미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많이 달라져 함부로 여자의 외모를 화제로 삼을 수 없다. 그럼에도 강남에는 많은 성형외과가 자리를 잡아 성업 중에 있으며, 전직 여성 대통령까지도 미용을 위한 시술을 받고 주사를 맞았다는 뉴스이고 보면 여성과 아름다움, 미(美)는 뗄 수 없는 관계인 것 같다. 아름다운 여성, 즉 미녀는 신화에서부터 역사의 곳곳에 자리 잡고 있으며 영화나 소설, 그림 등 문화 예술분야에서도 주연으로서의 위치를 점하는 비중이 높다. 한 나라를 엎어버릴 만큼의 영향력이 있는 아름다움을 갖춘 여인을 경국지색(傾國之色)이라 하는데, 어떤 이는 이 용어가 정치를 잘못해 나라를 망친 남성들이 여성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말일 뿐 실제 경국지색이란 없다고 한다.  중국..

클래식 단상 2025.02.27

고사성어를 만든 사람들 / 한나라 유세군과 '오손공주(烏孫公主)'

오손공주(烏孫公主)는 '오손으로 시집을 간 공주'라는 뜻으로, 정략결혼의 희생양이 된 슬픈 운명의 여인을 비유하는 말이다. 정략결혼은 특별한 이익이나 목적을 위해 당사자의의사와 상관없이 주위 사람들에 의해 추진되는 결혼을일컫는 것으로,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두 나라  왕실 또는 유력 가문이 결혼을 통해 제휴를 한 경우는 많다. 유명한 정략결혼으로는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왕가의마리 앙투아네트와 프랑스 부르봉왕가의 루이 16세의 결혼을 들 수 있다.  유럽 대륙의 패권을 놓고 경쟁하던 두 나라가 새롭게 부상하는 프로이센을 견제하기 위해 정략결혼을 했지만, 안타깝게도 두 사람의 결혼생활은 프랑스 대혁명으로 인해 비극적으로 끝이 났다. 고대 중국에서는 북방 흉노족의 침입을 막기 위한수단으로 정략결혼이 자주 ..

고사성어를 만든 사람들 / 인생 2막을 개척한 미녀 왕소군과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흉노는 한(漢)나라 고조 유방이 항우를 물리치고천하를 통일하기 전부터 이미 북방의 강국이었다.  한나라가 비록 진(秦)나라의 뒤를 잇는 강력한 통치체제를 수립했지만, 북방 흉노와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는 일은 쉽지 않은 과제였다. 한 고조는 한 때 흉노 정벌에 나서기도 했으나 참패한 뒤, 다시는 흉노와의 전쟁을 벌이지 말 것을 유언으로 남기기도 했다.  그래서 한나라는 왕실의 공주를 흉노의 왕인 선우에게시집 보내는 혼인 정책이나 조공으로 그들을 달랠 수 밖에 없었다. 중국 4대 미녀 가운데 한 명으로 꼽히는 왕소군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 흉노의 왕 호한야 선우에게 시집을 가 흉노 땅에서 일생을 마친 여인이다. 그녀가 한나라를 떠나 흉노의 땅으로 갈 때 하늘을 날던 기러기들이 그녀의 미모에 넋을 잃고 날..

가을은....

가을은 단풍의 계절이다. 여름 내내 푸르름 일색이던 산과 나무들이 하나씩 둘씩 붉은 색으로 또는 노란 색으로 물들기 시작했다. 가을의 자연이 아름답고 사람들이 좋아하는 까닭은 울긋불긋 다양한 색깔의 단풍 때문이다. 단풍은 붉은 색이 노란 색을 강요하거나 배척하지 않고, 노란 색은 붉은 색을 강요하거나 배척하지 않는다. 단풍은 통일성을 요구하지 않고 서로의 다양한 색깔로 조화를 이루며 공존한다. 자기와 생각이 다른 사람을 경계하고 배척하는 사람들에게 단풍은 무언의 교훈을 전하고 있다. 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 (군자화이부동, 소인동이불화) 군자는 조화를 이루지만 같음을 강요하지 않고, 소인은 같음을 중요시하지만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 가을은 낙엽의 계절이다. 나무는 한여름의 무성했던 잎들을 미련을 두지 않..

클래식 단상 2018.10.14

결혼, 음(陰)과 양(陽)이 만나다

무더위가 물러나고 가을로 접어드니 지인들로부터 혼사가 있다는 소식이 부쩍 많이 들려온다. 결혼은 개인적으로는 인생에 있어서 가장 행복한 빅 이벤트이며, 사회적으로는 인류가 고안해낸 가장 위대한 제도 가운데 하나이다. 인류가 멸종되지 않고 오늘날 찬란한 문화를 꽃 피울 수 있는 것은 결혼을 통해 삶의 안정성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한 데 따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결혼은 나라와 지역에 따라 다르고, 시대의 흐름에 따라서도 많은 변천이 있었다. 결혼(結婚)의 한자 혼(婚)은 원래는 저녁 무렵을 의미하는 황혼의 혼(昏)에서 유래된 글자이다. 전통 음양설에 따르면 남자는 양(陽)이고 여자는 음 (陰)이며, 낮은 양이고 밤은 음이라 양과 음이 교차하며 만나는 저녁에 남녀가 만나서 혼례를 올리는 것이 옛 풍습이었다. ..

클래식 단상 2018.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