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에서 찾는 삶의 지혜와 즐거움!
고전은 마르지 않는 지혜의 샘, 스토리텔링의 보물창고.

범려 6

고사성어를 만든 사람들 / 범려와 한신의 '토사구팽(兎死狗烹)'

'토사구팽(兎死狗烹)'이란 토끼 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를 삶는다는 뜻으로, 필요할 때는 요긴하게 쓰다가 효용성이 없어지면 야박하게 내팽개치는 경우를 빗대어 말하는 고사성어이다. 토사구팽은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권력의 비정한 속성을 보여준다는 부정적 이미지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일상생활에서 흔하게 사용되고 있다. 중국 춘추시대의 마지막 패권 다툼인 오왕 부차와 월왕 구천의 드라마틱한 복수극의 전개 과정은 와신상담(臥薪嘗膽)이라는 고사성어로 표현되고 있다. 오(吳)와 월(越), 두 나라의 50년 가까운 혈전은 마침내 월왕 구천이 승리하고, 오왕 부차가 자결하는 것으로 막을 내렸다. 이처럼 월나라가 승리하는데 가장 큰 공을 세운 사람은 월왕 구천의 책사 범려였다. 그러나 범려는 나라의 ..

고사성어를 만든 사람들 / 세계 최초의 미녀 간첩 서시와 동시효빈(東施效矉)

와신상담(臥薪嘗膽), 오월동주(吳越同舟) 같은 고사성어의 유래가 되기도 했던 오나라와 월나라의 복수혈전은 고대 중국에서 춘추시대가 막을 내리고 전국시대가 열리는 분수령이다. 이 시기에 등장하는 서시(西施)는 월왕 구천에 의해 오왕 부차에게 미인계로 보내져 오나라가 망하는데 일조한 여인으로, 아름다운 용모를 바탕으로 한 여러 고사성어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미녀 서시는 가슴앓이가 있어 가끔씩 통증을 느끼곤 했는데, 이 때 손을 가슴에 대고 얼굴을 찌푸리는 그녀의 모습 조차도 아름답기 그지 없었다고 한다. 서시의 이런 행동을 본 추녀 동시(東施)는 자신도 그렇게 하면 조금이라도 예뻐 보일 수 있을까 해서 흉내를 냈지만 동시의 못난 얼굴은 더욱 추해 보일 뿐이었다. 이처럼 못생긴 동시가 아름다운 서시의 외모나 ..

순환론적 세계관과 새옹지마

"사람으로 태어난 몸은 조심스럽게 운명으로 정해진 마지막 날을 볼 수 있도록 기다리라. 아무 괴로움도 당하지 말고 삶의 저편에 이르기 전에는 이 세상 누구도 행복하다고 말하지 말라." 아이스킬로스, 에우리피데스와 함께 고대 그리스의 3대 비극 작가로 일컬어지는 소포클레스의 희곡 '오이디푸스 왕'에 나오는 문장이다. 오이디푸스는 스핑크스가 내는 죽음의 수수께끼를 푼 덕분에 테베의 왕이 되는 영광을 얻었고 사람들은 그의 행운을 부러워했지만 그것은 오이디푸스에게 닥쳐올 연이은 불행의 단초가 된다. 많은 사람들, 특히 동양인들은 길흉화복과 흥망성쇠가 순환하는, 인생지사 새옹지마(塞翁之馬)라고 보는 세계관의 경향이 강하다. 새옹지마란 변방에 살고 있는 늙은이의 말이라는 뜻인데, 변방 노인의 말처럼 좋은 일이 화(..

클래식 단상 2020.06.10

젊은이들의 롤 모델 1위 범려의 일생

요즘 중국에는 자신이 닮고 싶은 롤 모델(Role model) 1위의 인물로 범려를 꼽는 젊은이들이 많다고 한다. 범려는 춘추시대 월왕 구천의 책사로 오나라를 멸망시키고, 구천이 패업을 이루도록 보좌한 뒤 나라의 절반을 주겠다는 구천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미련 없이 관직에서 물러났다. 월나라를 떠난 범려는 농업과 상업을 통해 많은 부를 축적한 거부가 되어 오늘날까지 재물의 신(財神)이며, 장사의 신(商神)으로 존경을 받는 인물이 되었다. 게다가 일설에는 범려가 월나라를 떠날 때 미녀 서시까지 데려가 함께 천수를 누렸다고 하니 젊은이들이 범려와 같은 삶을 동경하는 것도 수긍이 간다. 범려의 일생을 살펴 보면 권력과 부(富), 경제에 대한 그의 식견이나 생각이 얼마나 명석하고 시대를 앞서 갔는지 감탄하지 않을..

클래식 단상 2018.08.30

가깝지도 않고, 멀지도 않은

인공위성을 우주궤도에 쏘아 올릴 때는 구심력과 원심력이 균형을 이루는 최적의 지점에 위치해야 한다. 그 보다 조금만 더 지구에 가까워 구심력이 커지면 위성은 지구로 빨려 들어와 추락할 것이고, 반대로 조금 멀어져 원심력이 더 커지면 궤도를 이탈해 멀리 우주 속으로 사라질 것이다. 철새들이 대형을 이뤄 편대비행을 하는 것은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해 더 멀리 날기 위한 요령이다. 앞에 나는 새들이 날갯짓으로 상승기류를 만들면 뒤에 나는 새들은 이에 편승해 상대적으로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면서 날 수 있다. 새들은 효율적인 비행을 위해 최적의 위치를 찾아 수시로 자리바꿈을 하며 날아간다. 사람의 한자어 인간(人間)은 사람 인(人)에 사이 간(間)을 쓴다. 사람과 사람 사이의 거리, 간격이 중요하다는 의미를 함축하..

클래식 단상 2018.07.10

부(富), 돈의 위력과 속성

한 때 유전무죄 무전유죄라는 자조적인 말이 유행한 적이 있다. 경제성장 과정에서 나타난 부와 권력의 유착, 부익부 빈익빈에 따른 경제적 불평등, 국민정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사법제도에 대한 불신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만들어 낸 사회적 현상이다. 사마천의 사기에 의하면 월나라 범려는 와신상담 고사에서 보여 주듯 월왕 구천을 도와 오나라 부차를 멸하고 그 공을 크게 인정받았지만, 토사구팽의 위험 때문에 모든 기득권을 포기한 채 제나라로 도망쳤다. 범려는 이름도 주공(朱公)으로 바꾸고 장사를 해 당대 최고의 부자가 되었으며 ‘상신(商神)’, ‘재신(財神)’의 경지에 까지 이르렀다. "천금지자불사어시(千金之子不死於市), 천금을 가진 부잣집 자식은 죽을 죄를 지었어도 저잣거리에서 처형을 당하지 않으며, 도..

클래식 단상 2018.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