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에서 찾는 삶의 지혜와 즐거움!
고전은 마르지 않는 지혜의 샘, 스토리텔링의 보물창고.

거짓말 2

거짓말을 하지 않겠다는 다짐

거짓말은 심한 경우 한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기도 하고, 사회의 신뢰를 무너뜨리기도 하며, 나라의 운명을 바꾸기도 한다. (三人成虎) > 삼인성호는 한비자에 나오는 이야기로 호랑이가 없어도 세 사람이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하면 진실이 된다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전국시대 조나라에 인질로 가게 된 위나라 방총은 떠나기에 앞서 간신들의 모함을 우려해 왕과 이야기를 나눴다.“지금 어떤 사람이 저잣거리에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아뢰면 왕께서는 믿으시겠습니까?”“그 말을 어찌 믿겠는가.”“또 한 사람이 와서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말한다면 믿으시겠습니까?”“그게 사실인가 하고 반신반의하겠지.”“세 번째 사람이 와서 다시 호랑이가 나타났다고 아뢴다면 믿으시겠습니까?”“세 사람이나 와서 호랑이를 보았다는데 믿지 않을 사람이 어디..

클래식 단상 2025.03.06

고사성어를 만든 사람들 / 삼국지 조조와 '망매해갈(望梅解渴)'

삼국지연의에 나오는 이야기이다.조조가 헌제를 왕으로 옹립하고 허도에 도읍을 정한 후 남쪽 원정에 나섰다. 남쪽에서 원술과 손책 같은 군웅들이 끊임없이 허도를 노리고 공격 태세를 갖추고 있었기 때문이다.  때는 매우 더운 초여름이었다. 병사들은 오랜 행군에 지친데다 식수 부족으로 모두 심하게 갈증을 느껴 행군이 불가능한 상황이 되었다. 이때 조조가 소리쳤다."저 너머에 커다란 매실나무 숲이 있다. 새콤한 열매가 잔뜩 열려 있을 테니 조금만 더 힘을 내자!"장병들은 이 소리를 듣고 매실을 생각하자 입안에 절로 침이 고여 다시 기운을 내서 행군을 할 수 있었다. 이 일화에서 유래한 '망매해갈(望梅解渴)'은 조조의 뛰어난 재치와 임기응변술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사람을 속인 예로써 지적되기도 한다.   '망매해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