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에서 찾는 삶의 지혜와 즐거움!
고전은 마르지 않는 지혜의 샘, 스토리텔링의 보물창고.

전체 글 448

지성(至誠)이면 감천(感天)이다

남미 안데스 산맥 지방에 전해오는 벌새 우화이다.어느 날 안데스 산에 큰 산불이 났고동물들은 앞다투어 도망을 치기 시작했다.그런데 엄지 손가락보다도 작은 벌새는 조그만 부리에 물을 머금고 와서는 산불 위에 떨어뜨리는 동작을 몇 번이고 반복했다. 다른 동물들이 그 모습을 보고 "그런 일이 무슨 소용이 있겠어?" 하며 비웃었지만 벌새는 대답했다.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하는 것 뿐이야." 得志與民由之 不得志獨行其道(득지여민유지, 부득지독행기도)뜻을 얻으면 사람들과 함께 그 뜻을 실천하고, 뜻을 얻지 못하면 나홀로 대도의 길을 간다. 맹자가 대장부를 설명한 문장 가운데 일부분이다.작은 벌새의 외로운 행동이나 대장부의 결연한 의지는 남의 시선에 연연하지 않고 옳다고 생각하는 일을 묵묵히 실천한다는 점에서..

클래식 단상 2025.05.01

오늘의 명언 명문장 (2025. 4. 29)

가슴에 와닿는 한 마디의 말과 문장은 우리로 하여금 인생을 허투루 살지 않고 사유하며 살아가게 한다.일자천금(一字千金)의 명언과 명문장은 우리의 가슴을 더욱 따뜻하게 하고, 우리의 머리를 더욱 냉철하게 해준다. 1."사람은 누구나 달과 같다.누구에게도 보여주지 않은 어두운 면이 있기 때문이다."- 마크 트웨인 2."좋은 책을 읽는다는 것은과거의 가장 훌륭한 사람들과 담소하는 것과 같다."- 데카르트 3."5년 후의 나를 알고 싶다면 두 가지만 살피면 된다.'지금 교제하고 있는 사람' 그리고 '지금 읽고 있는 책'- 찰스 존스 4."오늘의 불행은 언젠가 내가 잘못 보낸 시간의 보복이다."- 나폴레옹

안빈낙도(安貧樂道)의 행복

사람은 누구나 행복한 삶을 원하지만 어떤 삶이 행복한 삶이며, 행복의 조건이 무엇인지 자신 있게 대답할 수 있는 사람은 흔치 않다. 다만 행복이 물질 보다는 정신적인 측면에 더 많이 좌우된다는 점에는 대체로 공감하는 것 같다. 長短家家有 (장단가가유)炎凉處處同 (염량처처동)어느 집이나 좋은 점 나쁜 점, 행복과 불행이 다 있고어느 곳이나 더위와 서늘함, 권세와 세력의 흥망은 다 똑같다. 자신이 불행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행복해 보이는다른 사람을 부러워하기도 하지만 그 집 문을 열고안을 들여다 보면 평소 생각했던 것과는 다른 경우가많다. 공자는 제자 가운데 안회를 각별히 좋아했고 안빈낙도 하는 그의 생활을 칭찬했다. "대그릇의 밥 한 그릇과 표주박의 물 한 모금으로 누추한 곳에서 지내고 있구나. 다른 ..

클래식 단상 2025.04.28

빅 픽처, 큰 그림을 그려라

"Boys, be ambitious!", "소년이여, 야망을 가져라!"학창시절에 많이 들었던 이야기로, 청소년들에게 원대한 꿈과 포부를 갖고 인생을 살아가라는 평범하지만 의미 있는 조언이다. 빅 픽처(Big picture), 큰 그림은 우리가 목표를 세우고 그것을 향해 나아갈 때 길을 잃지 않도록 방향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것은 건축가의 설계도면과 같고, 탐험가의 지도와 같다고 하겠다. 빅 픽처, 큰 그림을 그린다는 것은 고수가 바둑을 둘 때 몇 수 앞을 내다보고 돌을 놓는 것처럼 넓은 시야를 가지고 장기적인 전략이나 비전을 세우는 일이다. 미국 작가 더글라스 케네디의 소설 '빅 픽처'가 출간된 이후 큰 그림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져 요즈음엔 일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친숙한 표현이 되었으며, T..

클래식 단상 2025.04.24

오늘의 명언 명문장 (2025. 4. 22)

가슴에 와 닿는 한 마디의 말과 문장은 우리로 하여금 인생을 허투루 살지 않고 사유하며 살아가게 한다.일자천금(一字千金)과도 같은 명사들의 명언과 명작 속의 명문장은 우리의 가슴을 더욱 따뜻하게 하고, 우리의 머리를 더욱 냉철하게 해준다. 1."임금에게 대드는 신하 네댓 명만 있으면사직을 보존한다."- 공자(대통령이 격노할까 지레 겁을 먹고바른 말을 못하는 우리나라 대통령실 참모들과 각 부처 장관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대통령 자신이 마음에 새겼으면 하는 문장이다.) 2. "천하의 다스림은 군자가 여럿 모여도 모자라지만, 망치는 것은 소인 하나면 족하다."- 공자 3."주는 것이 얻는 것임을 아는 것이 정치의 비책이다."- 중국 춘추시대 제나라 관중 (우리나라 정치인들도 양보와 타협으로협치하는 아름다운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