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디 자포자기하지 말고 마음을 단단히 먹고서
부지런히 책을 읽는데 힘쓰거라.
그리고 책의 중요한 내용을 뽑아 옮겨 적거나
책을 짓는 일도 혹시라도 소홀히 하지 않도록 해라.
폐족이 되어 글도 못하고 예절도 갖추지 못한다면
어찌 되겠느냐.
보통 집안 사람들보다 백배 열심히 노력해야만
겨우 사람 축에 낄 수 있지 않겠느냐?
내 귀양살이 고생이 몹시 크긴 하다만 너희들이
독서에 정진하고 몸가짐을 올바르게 하고 있다는
소식만 들리면 근심이 없겠다."
"집안을 다스리는 요령으로 새겨둘 두 글자가 있으니,
한 글자는 부지런할 근(勤)자이고, 또 한 글자는
검소할 검(儉)자이다.
이 두 글자는 좋은 밭이나 기름진 땅보다도 나은
것이니 일생 동안 써도 다 쓰지 못할 것이다.
하늘은 게으른 것을 싫어하니 반드시 복을 주지 않으며,
하늘은 사치스러운 것을 싫어하니 반드시 도움을 내리지
않는 것이다.
유익한 일은 일각(一刻)도 멈추지 말고, 무익한 꾸밈은
일호(一毫)도 도모하지 말라."
"참으로 술맛이란 입술을 적시는 데 있다.
소 물 마시듯 마시는 사람들은 입술이나 혀에는
적시지도 않고 곧장 목구멍에다 탁 털어 넣는데
그들이 무슨 맛을 알겠느냐?
술을 마시는 정취는 살짝 취하는 데 있는 것이지,
얼굴빛이 홍당무처럼 붉어지고 구토를 해대고
잠에 곯아떨어져 버린다면 무슨 술 마시는 정취가
있겠느냐?
술 마시기 좋아하는 사람들은 병에 걸리기만 하면
폭사하기 쉽다. 주독이 오장육부에 배어들어가
하루아침에 썩어 물크러지면 온몸이 무너지고 만다.
이것이야말로 크게 두려워할 일이다."
"남이 알지 못하게 하려거든 그 일을 하지 말고,
남이 듣지 못하게 하려면 그 말을 하지 않는 것이
제일이다."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은 한때의 재해를 당했다 하여
청운의 뜻을 꺾어서는 안 된다.
사람의 가슴속에는 항상 가을 매가 하늘로 치솟아
오르는 듯한 기상을 품고서, 천지를 조그마하게 보고,
우주도 가볍게 손으로 요리할 수 있다는 생각을
지녀야 옳다."
"편지 한 장 쓸 때마다 모름지기 두 번 세 번
읽어보면서 이 편지가 사거리의 번화가에 떨어져
나의 원수가 펴보더라도 나에게 죄가 없을 것인가를
생각하면서 써야 한다.
또 이 편지가 수백 년 동안 전해져서 안목 있는
많은 사람들의 눈에 띄더라도 조롱 받지 않을 만한
것인가를 생각해본 뒤에야 비로소 봉해야 하는데,
이것이 바로 군자가 근신하는 태도이다."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는 조선시대 대표적 실학자인
다산 정약용이 유배지인 전남 강진에서 아들과
지인들에게 보낸 편지를 모은 서간문집이다.
정약용은 1762년 경기도 광주부(현재의 남양주시
조안면)에서 출생하여, 28세에 문과에 급제한 뒤
동부승지, 형조 참의 같은 벼슬을 지내며 정조 임금을
보좌했다.
그러나 정조가 죽은 뒤 신유사옥에 연루되어
18년 동안 전라도 강진에서 유배생활을 했으며,
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신서 등 500여 권의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유배지에서 보낸 편지'는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1부와 2부에서는 아들들이 좌절하지 말고 학문에
정진할 것을 당부하고 있으며,
3부에서는 흑산도에서 귀양살이 하고 있는 자산어보의
저자이자 둘째 형님인 정약전의 안부를 묻고, 학문을
토론하고 있으며,
4부에는 제자들에게 다양한 지혜를 전수하려는 모습이
담겨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감동적인 것은 단연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아들들에게 주는 편지글이다.
어려운 유배생활에서 자신의 고달픈 삶을 토로하지
않으면서도 아들들이 훌륭한 사람으로 성장하기를
바라는 아버지의 자상하고 간절한 마음이 배어난다.
學而不思則罔 (학이불사즉망)
思而不學則殆 (사이불학즉태)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얻는 게 없고,
생각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 <논어>
클래식 클래스
'명작 속의 명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작 속의 명문 / 죽은 시인의 사회 (0) | 2021.07.26 |
---|---|
명작 속의 명문 / 남아 있는 나날 (0) | 2021.07.22 |
명작 속의 명문 / 분노의 포도 (0) | 2021.07.15 |
명작 속의 명문 / 키다리 아저씨 (0) | 2021.07.11 |
명작 속의 명문 /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0) | 2021.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