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목수가 좋은 연장을 쓰듯 성공을 꿈꾸는 리더는 유능한 부하를 찾기 위해 노심초사 노력한다.한나라 때의 역사가 사마천이 쓴 에는 오청이윤(五請伊尹) 고사가 나온다. BC 18 세기경 고대 중국 은(상)나라 시조인 탕왕은 초야에서 농사를 지으며 도를 실천하던 요리사 출신 이윤의 명성을 듣고 그를 신하로 쓰고 싶었다. 탕왕은 네 번씩이나 사람을 보내 이윤의 출사를 청했으나, 이윤은 탕왕의 부름에 응하지 않았다.그러자 탕왕은 다섯 번째는 자신이 직접 마차를 몰고 이윤에게로 가서 함께 일할 것을 청하기로 했다. 이처럼 탕왕이 직접 마차를 몰고 간 것은 몇 번씩이나 같은 길을 오가며 탕왕의 심무름을 했던 마부가 불평을 하자 혹시나 그가 이윤 앞에서도 불만스런 표정을 보이지 않을까 염려해 마부를 남겨 놓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