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에서 찾는 삶의 지혜와 즐거움!
고전은 마르지 않는 지혜의 샘, 스토리텔링의 보물창고.

읍참마속 3

고사성어를 만든 사람들 / 삼국지 제갈량의 '아심여칭(我心如秤)'

중국 후한 말 삼국시대 제갈량의 말에서 유래한 '아심여칭(我心如秤 나 아, 마음 심, 같을 여, 저울 칭)'은 나의 마음은 저울과 같다는 뜻으로, 모든 일에 공평무사해서 사사로운 감정이나 이익을 개입시키지 않고 법대로 처리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제갈량은 뛰어난 지략가이자 정치가로, 일을 처리함에 있어서 상벌을 공정하게 시행한 것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위, 촉, 오, 삼국 가운데 촉(蜀)의 내부에는 형주 세력, 동주 세력, 익주 세력 등 큰 파벌이 세 개나 존재하면서 내부 갈등이 심화되고 있었다.  더구나 촉의 황제 유비가 이릉 전투에서 오나라 장군 육손에게 대패한 뒤 백제성에서 병사하고, 어린 아들 유선이 그 뒤를 이었지만, 아직 체제가 허약했다. 이런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승상인 ..

고사성어를 만든 사람들 / 삼국지 마량, 마속 형제 관련 고사성어

삼국지에는 마량과 마속, 두 마씨 형제의 이야기가나온다.이들 마씨 형제는 마현, 마강, 마진, 마량, 마속 등 모두 다섯 명이었는데, 이들의 자(字)는 백상, 중상, 숙상, 계상, 유상 등으로, 모두 상(常)이라는 글자가 들어가 있어 사람들은 이들 형제를 가리켜 '마씨오상(馬氏五常)’이라 불렀다. 고대 중국에서는 보통 형제가 태어난 순서대로 자를 지을 경우 백(伯)-중(仲)-숙(叔)-계(季)-유(幼)의 순서로 하고, 그 다음에 돌림자 형식으로 한 글자를 덧붙이는 경우가 많았다.이를 고려하면 계상 마량은 마씨 오형제 가운데 넷째였으며, 유상 마속은 막내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마씨 형제는 모두 재주가 뛰어났으나, 그 중에서도 눈썹에 흰 털이 난 마량이 가장 뛰어났으므로사람들은 그를 '백미(白眉)'라고 부..

고전에서 배운다 / 제갈량과 사마의

나관중이 지은 소설 삼국지에서 전반부의 두 축이 유비와 조조라면, 이들이 죽은 뒤 소설 후반부의 흥미와 긴장감을 이어가는 두 축은 제갈량(공명)과 사마의(중달)이라고 할 수 있다.  소설 삼국지는 가히 제갈량 전기라고 할 만큼 제갈량 찬가로 가득하다.소설 속 제갈량은 신출귀몰한 전략과 사람의 마음까지 읽는 혜안, 진법은 물론이고 풍수부터 천문까지 거의 완벽에 가까운 캐릭터로 묘사되어 있다. 제갈량은 촉 황제 유비와 유선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으면서 활약을 하는데 반해, 사마의는 줄곧 위 황제들의 의심과 신뢰 사이에서 줄타기를 해왔다.사마의는 조조, 조비, 조예, 조방까지 4대를 보필하면서, 손자인 사마염이 진나라를 세우고 삼국을 통일할 수 있는 기초를 닦았다. 제갈량과 사마의 두 책사를 비교할 때 사마의는..